본문 바로가기

정보성

한입에 먹기 편하니 더 먹게됨?

그 구조가 확실히 생산단가는 절약되겠지만 별차이 있을까요?
저게 더 만들기 쉬울수도 있고 보기에 한입에 먹기 편하니 그런걸수도 있죠.
한입에 먹기 편하니 웃겨주시네요.. ㅋㅋㅋ
님이 하는말이 전부 과대포장 과자업체에서 나오는말이란걸 알고 계신가요? ㅋㅋㅋㅋㅋㅋ
저게 만들기 쉽다......ㅋㅋㅋ.. 걍 웃고 갑니다.
용기의 제작 단가중 재료가 차지하는 비용은 거의 되지 않습니다. 절약되는 플라스틱 10원도 안하겠죠..


물론 이 10원도 제품가격이 1천원이라면 1%의 엄청난 순이익 향상을 의미하겠지만...
하지만 생산조립라인의 단순화는 이루 말할 수 없는 단가의 절약을 의미 할껍니다.
복잡한 구조에서 단순한 구조, 규격화는 현대 대량생산 라인의 제작의 최중요 개념입니다..
이는 생산효율, 생산속도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고장이나 오작동의 가능성도 줄어들죠..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만 국내 대기업 생산라인 관련 이야기만 봐도 이런 최적화가 국가 경제 수준으로 파급력을 갖는다는걸 알고는 있습니다.
구조라는 게 아무리 잘 봐도 나름대로 위에 하기 힘들다면 복잡하게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그러한 구조를 잘 알아가기 위해서는 미래와 미래에 대한 생각과 구조를 파괴하는 것도 나름대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지는 사람이기도하죠.


아무래도 이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고 해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인지 아닌지는 좀 더 길게 생각해 볼 문제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