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몇시간째 상대방이랑만 대화한듯;;

왜 비슷한 기본급을 지불하는곳 이라는것을 가정하는지 모르겠네요..

몇급 초봉이나 실수령등 받는곳이랑 비교하면 당연 좋을수밖에 없겠죠? 알바해도 이보다 많이벌겠네요.

근데 대졸자입니다. ( 거의 99%가 대졸자라네요.. 다른글보니?)

 

넹? 정도 주는 곳도 저정도면 엄청난 대우에요..

나름 님 주장에 맞춰서 힘들다는 최저치를 가져다 댄겁니다...

 

중소기업 수준도 싫어서 공시하는데는 금만 가져다 댈게 아니에요. 더 손봐야죠...

몇급 정도 안됩니다. 매일매일 야근다했다고 가정하면 어느정도 받겠네요.. 실수령...

그러니까 최저치를 가져다 비교한겁니다. 신경써서 말해준건데;

대졸 2천4백 받는 중소기업을 가져다 비교해도 공원 대우가 더 좋아요...

 

 

 

 

위 대우는 생각나는데로 적었지만 더 많겠죠. 연봉 이하보다 선호도가 높은 직종인데;

저 화내는거 아니에요;;;; 공격적이라고 느끼셨나봐요;;

저러한 대우는 없앨려고 하면 안되죠 ..그리고 육아휴직, 주 5일근무 이런거 원에서 없애버려요??

육아휴직. 주 5일근무제 이런 제도들의 시작이 부죠. 부에서 사기업으로 퍼져야할 정책인데 원에서 없애면 정부에서 저런 정책 안하겠다는거죠...

정책적인것의 시작인겁니다...

 

 

 

 

저러한 대우들은 정부에서 먼저 앞장서서 시작하고 점점 사기업에도 의무화가 되는겁니다...

강제하면 되죠. 과징금 보상금 먹이고. 누가 현실화해서 동반성장할까요?

 

그걸 해야할 구직자들이 공직에 매달리잖아요...

원들은 그런 대우를 받는 일반 노동자들의 세금으로 자신들 지위를 보장하구요...

그걸 해야할 구직자들이 왜 공직에 몰릴까요?

 

 

 

 

공직이 대우가 좋아서? 제가 보기엔 그게 아니네요. 공직이 대우가 좋은게 아니라 다른게 대우가 낮은겁니다..

상대적으로 좋아보이는거죠. 근데 그게 과연 좋은걸까요?

 

님이 말하시는것도 다른것과 비교했을떄 좋다는건데... 이게 과연 옳은걸까요???

그리고 강제하고 과징금이라... 최저임금제같은것도 안지켜지는데 과연 지켜질까요?

강제적인것으로 모든걸 해결할수 없다고 생각하네요..

(비리도 마찬가지 맥락이네요. 강제로 처벌만 강화한다고 그게 될까요?)

 

 

 

 

 

졸려서 이만할께요. 몇시간째 님이랑만 댓글대화한듯;;;

감시와 처벌이 제대로 안되니까 이모양이죠. 복지정책이 시행될때는 강제성 함께 가야죠..

그런데 공만 그런 대우를 받죠. 다른 곳이 낮은게 아니라 세금으로 공만 좋아진겁니다..

순기능으로 함께 좋아질 시간은 20년째 답보하네요...

 

 

 

 

부패는 대우보다 감시와 처벌이 더 중요해요. 그게 기본이고 옳은 일이구요...

어디를 가는지 알수는 없지만 그냥 집에 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