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사용하는 데스크가 기존에 사용하던 몇백개가짜리 하드디스크 제거하고 새로운 거 ide 방식으로 500기가 이상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니까 드라이버 자체가 안 잡히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윈도우 운영체제 집에서 디스크 관리 들어가 보니까 드라이브 한 개만 인식되어 있고 아이들이 방식이다 보니까 데스크탑 내부의 연결 하려니까 메인보드의 sata 방식이라 연결할 수 없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bios에서 잡아야 되는 거 아닌가 싶은데 바이오스에서 먼저 확인해 보고 잡히는 제한 잡히는지 그다음에 디스크관리 봐야 하는데 기존의 회장으로 사용하던 하드디스크 아이디 방식인지 sata 방식인지 확인해 보고 새 하드디스크를 데스크탑연결 하려면은 idea to sata 젠더를 구해야 될 것 같더라고요.
![](https://blog.kakaocdn.net/dn/ddds24/btqEII7HMih/d7jLL5jzug7bd1dNi5pdQ0/img.jpg)
기존에 외장하드디스크 케이스에 ide HDD 사용 중에서 그걸 제거하고 새롭게 하드디스크 HDD 설치 하는 건데 굳이 바이오스 들어갈 필요가 있나 싶은 생각도 듭니다. 데스크탑에서 연결 하려던 잔다고하고 인터넷으로 나오는 것도 있던데 데스크탑 메인보드에 연결 할 자리가 없을 수도 있더라구요. HDD 4 개랑 SSD 2개 구성되어 있는데 말이지요. 바이오스에서 인식이 안 되면 초기불량이나 디스크 물리 결합이라 그걸 알아보려고 질문한 경우도 있는데 USB가 일단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외장 하드 디스크 부팅 순서 같은 데서 띄워 줘야 맞을 것 같더라고요.
![](https://blog.kakaocdn.net/dn/bgiv4e/btqEGC18Q2u/8i5QDUIxLk4Q1ykKzuHOpk/img.jpg)
지금 정착하려는 ide 하드 디스크 설정 마스터로 설정한 뒤 다시 해 보고 보통의 경우 usb로 ide 하드 디스크 연결할 때 마스크 설정 상태가 되어야 인식률이 높아집니다. 마스터 그리고 슬레븐 설정하는 하드디스크 점퍼핀 모두 제거해 보고 인식이 되면 점퍼 분실 방지를 위해 핀 한 개만 연결해 주면 됩니다 이렇게 해도 안 되면은 연결 정확하게 해 줘도 동일하게 기존의 HDD가 연결시 정상 연결된다면 500기가짜리 하드디스크를 다시 연결하고 하드디스크를 만져 보세요.
![](https://blog.kakaocdn.net/dn/ceILfW/btqEHaqsSh4/ICW4OdrDqelr1AyIG8ZM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fEYaF/btqEIVyTUxP/FyTWJVVjnjk4k83lkQHXP1/img.jpg)
하드디스크의 미세한 진동에 있어야 하고 모든 연결에 그리고 점퍼 작업은 PC 전원을 완전히 꺼진 다음에 해 봐야 할 겁니다. 이래저래 컴퓨터 만지다 보면 모르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메뉴얼이나 이런 걸 참고해서 하나둘씩 알아가는 것도 나름대로의 재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