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356) 썸네일형 리스트형 공냉이니 수냉이니 안쓰고? 생각차이도 별로 없을걸로 생각되고...(배송료에, 텍스 하면...;;) 물론 가격이 매리트가 있으니 고려하시겠지만서도.. 구매해서 케이스 깎아서 겨우겨우 설치했네요. 현재 불량은 없네요. 프라임돌려봐도 70도가넘지않고 펌프음도 안들리구요.. 지금은 공냉이니 수냉이니 안쓰고 그냥 노트북 쓰고 있습니다만 과거의 경험을 삼아 몇자 적어봅니다. 수냉이라는게 가장 문제가 되는게 순환시키는 펌프 다운 또는 누수는 눈에 보이는 문제이고, 이넘의 시키가 열먹기 시작하면 공냉이나 수냉이나 어차피 온도 저하율이 비슷해집니다. 왜냐구요? 열전도체를 물로 사용하는데 물의 비열을 라지에이터 구조로는 빠르게 제거 하질 못하거든요. 그럼 열원에서 받아온 리턴라인 부분 냉각수가 60도가 되어 돌아온다고 가정하에 라지에이터에서 열교환.. 본체 내부도 좀 청소를 해주세요. 그럼일단 글픽드라이버 새로설치해봐야되려나요?? 일단 윈도우로 들어가져야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하지요. 부팅이 되느냐가 문제입니다. 본체 내부도 좀 청소를 해주세요. 그런다음 다시 장착하시고 부팅해 보세요. 일단 안전모드는 들어와져서, 안전모드로 설치하고 있는데 괜찮겠죠? 안전모드는 부팅이되신다면 그래픽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보세요. 인터넷이 안되시면 일단 중요한 파일을 외장하드나 USB메모리로 백업하세요. 포멧후 윈도우즈 재설치도 필요할지 모르니까요.. 재설치 하고 다시시작해봣는데, 안먹히네요; 일단, 에러가 여러번 나와서 윈도우즈 부팅부분이 손상되었을수도 있습니다. 안전모드로 들어가셔서 중요한 파일을 백업하세요.. 하드가 파티션이 2개로 나뉘어 져서 D드라이브같은데 있으면 그곳에 하시고 아니면 USB메모.. 한명이 입원하고 한명은 멀쩡하면? 그분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들이신가요? 먼저 때리면 정상참작이 약간 되긴하지만 별 차이없습니다. 다치고 안다치고에 문제죠. 전치 몇주를 괜히 따지는지 아시나;;? 글다니까 몇분이 더다셨네 윗 3분 글 얘기입니다.. 맞은 사람이 전치 몇주가 나오든 말든 먼저 친 사람 잘못이 더 큰거 아닌가요? 술을 먹고 먼저 쳤다는 거에서 말한 겁니다. 그리고 꼭 집어서 위 세분 글입니다. 라고 해야하나요? ♢ 맞고소 하시면됨. 어차피 쌍방 서로 우기면 쌍방이라고 경찰이 합의보라고 할텐데.. 대부분 먼저친사람쪾으로 경찰이 합의보라고 함.. 제 친구 2명 각각 다 저런식이더군요.. 그건 서로 상태가 비슷할때죠. 한명이 입원하고 한명은 멀쩡하면 상황은 매우 다릅니다;; 단정짓지마세요. 술에 취해 먼저 폭행 한 것을 인정하고.. 블루스크린 없이 파워가 꺼지는경우 처음에는 저도 대충하다가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 고수분들 시스템을보다보니 자꾸 뜯게되네요 -_-;; 대단하네여!! 마음이 편안해지는 짤이네요.ㅋㅋㅋㅋ 에이2 500A EU입니다..ㅠ 요놈 파워인가요? 저도 그 자꾸 꺼지는 증상났던 파워가 뻥이었음 ㅋㅋ 왕 주특기인듯! 그리고 저도 저증상 생겼을때 뭣때문인지 답답해서 문의글도 많이 올렸는데 그때도 아무래도 발열때문에 컴이 셧다운되는게 아닐까 하는 답글이 젤많긴 했는데 결론은 아니었어요. 솔직히 겜하다 꺼지는거면 모르겠는데 인터넷서핑하다가도 꺼지고 가만둬도 꺼지는거면 이 계절에 발열문제는 말이안되는 거였음.. 아이고 감사합니다.. 파워한번 교체 해봐야겠어요. 블루스크린없이 파워가 꺼지는경우는 파워와 CPU쪽에 과부하가 걸려서 강제 차단하는경우가 대부분일껍니다... HDD의 경우 소모품이라 사용할수록! HDD의 경우 소모품이라 사용할수록 속도저하가 있으니 새 HDD로 교체해도 체감은 됩니다만, 이미 HDD 사용중이시니 SSD 달아주는게 훨씬 체감되구요. 내부청소를 안해주셨다면 쌓인 먼지 제거와, 말라버린 서멀 컴파운드 재도포를 해주는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세컴 컴으로 린필드 3.4로 오버해서(h55 보드라...오버가 많이 안 들어갑니다..) 쓰는데.. 왠만한 그래픽카드도 병목없이 잘 뽑아 주더군요... 큰돈 안들이실꺼면 P55 보드니까...3.6 정도 까지 오버해 주시고...극오버를 원하시면 쿨러를 빵빵한걸 사야 하는데.. 그러면 가성비가 떨어지니까...3.6~3.8정도로 타협보시고... SSD는 그냥 사서 하드 꼽듯이 하시면 되고...그리고...제일 중요한 그래픽 카드를 바꾸시면 지금도 현역으로 충분.. 커진만큼 만족도가 정비례한다면? 아주 소박합니다.... 제가 아는분은 어디에 한참일때 장소 받아 투자후... 몇년후 부도났다고 회사 부도 처리해버리고 그돈으로 소박(만수르 입장에서)하게 생활하고 계십니다. 물론 회사 공식 부도이기에 어떤 추심도 없습니다. 문제는 거기에 회사 만들고 이런 식으로 부도내고 자금빼돌린 사람이 한두 사람이 아닌걸로 압니다. 머니 빼돌리기 하면 안되요. 하우스 지어도 지원 과수 해도 지원 이게다 걷어서 하는건 모르는지 이래서 돈은 돌고 도나 저도 그냥 기본만 쓰는데, 그게 뭐 문제 되나요? 그냥 문득 생각나서요! 좋은거같음 쓸데없이 민감하면 돈만 깨짐... 제손은 돈안깨지는 손인듯... 제품이란게 짜리가 10의 만족감을 준다면, 짜리가 100의 만족감을 주진 않죠. 금액이 커진만큼 만족도가 정비례한다면 구할 생.. 전체적인 설계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던가? 좀 떨어진다고 전체적인 설계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던가 하진 않지 어짜피 오버할것도 아니고 말야 누가 뭐라 하던 기가 잘팔리고 내구성과 안정성이 높은건 사실임 그래서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는건지? 가랑 아랑 왜 묶어 포장하냐고? 두 업체가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에 묶어 언급하는건가? 지금 이외의 업체들은 팔리지가 않으니까 활로를 찾는다고 난리인데 중요하지 않은걸로 꼬리 잡는거 보면 참... 니가 싫어하면 안팔릴줄 알지? 아니거든 ㅋㅋ 좁아터진 공간에서 암만 떠들어봐야 세상에선 위주로 팔리지 같이 시장 점유율 무시하는 사람들보면 다른 세상에서 살고있는거 같더라 참고로 메인보드 점유율 1위가 어디야? 컴퓨터 갤러리판에서 논쟁이 있었죠. cpu 가격에 걸맞는 메인보드를 구할 것인가 말 것인가? 예를 들어.. 전력소모를 비교해봐도 20w차이도 안나니? 뭐! 일각에서는 280x가 500w으로도 충분하다고 하는데, 물론 돌아가긴 하죠. 그렇지만 권장 psu 용량이 존재하는 이유는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 권장한것보다 적은 정격용량으로 구동했을시에 파워의 수명은 2배이상으로 감소합니다. 500w 로 구상할수있는 최상의 카드로는 970밖에는 정답이 없습니다만, 970이 비램 스펙사건으로 큰 파장이 있었으나 정격 500w에서 사용할수 있는 카드로는 최상의 카드이고 또한 대안이 없습니다. 파워를 교체하지 않는 다는 전제하에 신품으로 교체를 한다면 970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비램문제가 있었지만 아직도 성능이나 전성비에서는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 조금 고민해봐야겠네요. ^^ 명절 잘 보내시고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290부턴 전력을 정말 많이 잡아먹..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