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356)
프리징이 ssd에만 발생하는 현상도 아니고?? 모든회사의 SSD의 도저히...어쩔 수 없는 한계 현상인가요? 극복한 모델이 나올까요? 프리징이 ssd에만 발생하는 현상도 아니고.. ssd때문에 프리징 현상이 일어나도 일부 모델의 일부 환경일 뿐입니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문제가 없습니다. 특정회사 특정모델의 SSD 제품이겠죠.. 닉네임을 말하고 싶네요.. ㅋ 그 회사가 어디인가요? 시작하는 그곳인가? 꺼지는게 파워 불까지 나가는거면 모르겠지만.. 파워버튼이 들어와 있으면서 먹통이면 PS2 키보드 다시꼽아보거나 완전 빼 보세요.. 부팅할때 삐~ 하는 소리가 나면 증상을 알텐데 요즘은 기본 off이거나 아예 없는경우조차 있더군요.. 어쨋건 삐~! 하고 딱 한번 소리가 나느냐를 일단 알아야 합니다.. M/B 쇼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드까지 분리하신다음..
꺼진상태에서 전원을 켰을 때 꺼진상태에서 전원을 켰을 때 바로 꺼지는 현상이면 파워나 메인보드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니면 파워쪽에 스탠바이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파워선을 빼고 전원버튼은 4~5회 정도 눌러준 후에 5분후 연결하여 다시 켜보세요. 파워선을 빼고 전원버튼을 눌러주면 잔류전원이 없어져 완전 방전이 됩니다. 램 접지 불량,, 시퓨나 글카 쿨링능력 이상 (쿨링에 관한 모든것.쿨러에 문제가 있다고만 생각하면 안됨.쿨러가 제대로 붙어있는가.써멀구리스 등등) 파워부족 파워고장 메인보드 고장 등 파워전력 공급에 관한 모든 경우를 포함한 이상.. 직접해결하려면.. 컴내부를 들여다 보세요. 일단 팬은 잘돌아가는지 이상없다면,, 그다음은 모든 연결부위가 잘 연결되었는지 꽉꽉 눌러서 재확인.. 그래도 똑같다면 부품고장일 확률..
파워 메인보드 정도 의심되네요.. 파워 메인보드 정도 의심되네요.. 다른부분은 고장이 그렇게 잘나는것이 아니기에... 대체 부품이 있다면 확인가능하나 없다면 여기까지.. 메모리 경우는 빼고 부팅 한번 해보시면 삐소리로 확인가능.. 일단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제 경우는 전원 스위치 고장으로 스위치 교환 후 정상적으로 부팅 되었던 사례가... 전원 스위치가 나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구요.. 대부분이 램이 주요원인입니다. 전원이 꺼진상태에서 램을 뺏다가 구리코팅부분(접점)을 청소하시고 다시 꽂아서 해보세요... 그래도 똑같다 그러면 보드내의 모든 슬롯을 뺏다가 청소 후 꽂으신 다음 해보세요.. 위 두가지도 안된다 그러면 보드문제입니다~ ㅎㅎ 전 뒤에 파워스위치 꺼짐으로 했을때 그런일이ㅡㅡ.. 초보같은 실수를 했었죠.. 그래픽과 램을 뽑았다가 다..
하드를 2개 잡은 이유는? 하드를 2개 잡은 이유는 패키지 게임류에 CD, MP3, 드라마, 영화 등등을 저장할 공간으로 잡고, 나머지 한개에는 메인으로 하는 게임이 아닌 가끔씩 즐기는 게임들을 설치와 설치관련된 패치나 기타 파일들을 보관하기 위해서 2개를 해봤어요. 도시 제품이 괜찮나요? 예전에는 안좋다라는 말들이 많이 있어서 전 주로 하드를 사면 제품을 사게 되었거든요. 요즘은 시골 제품도 좋은가보군요? 가격적인 면에서는 1테라 2개보다는 시골 2테라 1개가 더 가격은 저렴하네요. 고민이 되는 부분이군요. 2테라 적정 선이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아래에서도 본거지만 제온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네요. 넘는거면 제온 메리트는 없다고 보는게 맞을듯 합니다.
메인보드를 고정한 나사가 튀어나와서~ 종이 한장 넣어서 뚜껑 덮어서 부팅 해보니 되긴 되더군요. 음... 애초 딴문제인건지 쇼트인건지도 의심스럽고... 아무튼 그 메인보드에 딸려오는 스펀지를 좀 잘라서 틈사이에 밀어넣어 볼까요? 원래는 그스펀지 깔고 까는걸 몰랐네요 메인보드 부착할 당시... 보통 쇼트 나면 메인보드 볼트부분에서 불꽃이 튀면서 연기가 올라올텐데요.. 파워는 오래됐나요? 파워 문제는 아닌거 같습니다. 500짜린데요. 한 2.3년 정도 일겁니다. 요즘같이 건조한 날씨에는 정전기로 인해 장애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메인보드 파워스위치를 모두 빼시고 단자쪽을 얇은 붓이나 브러쉬로 먼지를 제거하시고,,, 반대쪽 덮개안면도 걸레도 잘 닦아 먼지를 제거하신 후 장착 후 다시 해 보시기 바랍니다. 메인보드 cpu 꼽는 쪽 반대 편에 검은게..
커서를 원하는 위치에 대면! 뜨아~~~ CAD를 오늘 처음 켜신 분이 질문 답변으로 공부를 진행. 캐드 배우는데 몇 개월 걸리는 과정이고.. 오아 캐드는 그중에서도 전자에 대한 개념이 없으면 힘든건데. 케이스 제작관련해서....잠깐만 쓸거에요. ^^ 이게 주요툴이였으면 학원을 댕겼죠. ㅋㅋㅋ 설마하니...ㅋㅋ 힘내세여 저도 대학교에서 수업 받았었는데 ㅋㅋㅋ 아마 그... 따로 보시는 옵션이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저도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커서를 원하는 위치에 대면 아랫쪽 좌표에 값이 나옵니다. 이것으로 전체 사이즈를 볼 수 있고요(유닛이 인치(밀) 혹은 미터(밀리) 선택후 보시길) 그외 중간부터 보려면 Tool -> Dimension -> select tool 선택하고 두 포인트 찍으면 나옵니다. 이것역시 유닛 바꾸시고요.
메인보드의 cpu소켓옆 4핀cpu 이름 없는 제품이라 하더라도 최소 회사명/모델명 정도랑, 스펙(출력표/물론, 묻지마면 신뢰도에 문제가 있지만...) 정도는 올려주시고, 가급적 증상을 적어주시는게 좋을 것 같은데요? 그리고 영 아닌 것 같으시면, 파워 서플라이도 새로 하시구요. 파워하나가지고..여러번 짼데..이만하면.글 검색해서 이미 샀을듯.. 메인보드의 cpu소켓옆 4핀cpu보조전원연결해줬는지 유무(8핀보드도 있는데 4핀만 연결해도 됨) 그래픽카드의 보조전원연결해줬는지 유무 이두가지를 확인해보세요. 그래픽카드는 다 연결해야합니다. 460이면 보조전원1개 혹은 보조전원2개일텐데.. 구형파워경우 그래픽카드의 보조전원이 없거나 1개연결할수있는선만 있을수 있습니다. 이경우 그래픽카드보조전원젠더를 카드사면줍니다. 단 카드를 중고로 할경우 카드만..
사무실이 자주컴바꿔주는것도! 좋은선택이세요 사무실이 자주컴바꿔주는것도 아닌데 바꿀때좋게하는게 맞아요. 더존프로그램사용하신다면 위사양이 딱이네요. 아래 작성하신 글을 읽어봣는데.. 설명이 너무 부실해서 판단하기 어렵네요. 새로 구매한 ssd에 순정 윈도우를 깔았는데도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왔다는 의미인가요? 새로 설치한 하드에 윈도우 설치중 처음에 재부팅 하잖아요. 첫재부팅후 설치를 해야하는데 이렇게 떳네요. 키보드눌러서 선택하면 되는데 키보드가 안눌러져요. 부팅순서 바꿨는지 확인해보시고 제대로 되어있다면 가장 의심해볼만한게 설치까지는 이상없이 되었다고 하니.. 설치를 USB 로 했는지 DVD로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설치하는 원본이 깨졌을 확률이 높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