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356) 썸네일형 리스트형 업그레이드도 생각해 보게 되는데 SSD 추가하고 저번에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어서 한번 업글해 보게 되는 것 같은데 인터넷 아는 거는 영상 보는게 다행인 것 같더라고요. 윈도우 설치 하고 관련해서 업그레이드도 생각해 보게 되는데 SSD 추가하고 윈도우 10 설치 그리고 메모리 업그레이드 이러한 방법으로 영상 같은 거 찾아보니 있었죠. 그렇게 할 수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그런데 ssd랑 메모리는 어떤 걸로 가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되는데 이래저래 검색해보면 호환되는 부품들을 리스트를 어느 정도 정리해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정보를 보니까 삼보 컴퓨터 사용 중인 것 같은데 지금 컴퓨터에 많이 들어가는 것도 있고 업그레이드 제한 있잖아라는 생각도 듭니다. 샌드브릿지 2세대 출시된지 오래되어서 메모리와 SSD 만 추가 하는게 좋을 것 같은데 아무래도 메모.. CPU에서 상관 하는 것도 있고 바꿔도 일단 컴퓨터 관련해서 크게 몇 가지로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 모니터 주사율에 관해서는 그래픽 드라이버 관해서도 그래픽카드가 고장 나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고장나 버리는 것 같은데 다른 모니터나 TV에 연결해서 테스트해보고 메인보드를 교체해 보는 편이 좋을 것 같은데 CPU에서 상관 하는 것도 있고 바꿔도 똑같거나 매일 못 올 수도 있기 때문에 테스트해볼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현재 모니터가 24인치 LCD 모니터인데 제조사에 들어가서 적정한 드라이브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 보고 기본으로 PNP 모니터로 잡는데 그나마 장치관리자에서 느낌표가 뜨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주사율 관리가 어렵다는 거죠. 그래픽카드가 고장나면 외장 VGA 설치 외에는 방법이 없을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내장그래픽이 고장났.. 바이오스랑 윈도우 암호 설정 해 놓으면은 이래저래 사용하다보면 계정에 관해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계정의 암호 글번호 마모와 관련해서 잘 방어 내놓는다면 낭패보는 일이 없겠지요. 하드디스크 고장 나서 조금 못 하거나 저장장치를 다른 컴퓨터에 저장하는 후에 열어 볼 수 있는 방법이 어떤게 있는지 찾아본다면 관리에 대해서 관련해서 설정할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자주 만지는 컴퓨터라면 게스트 계정 하나 생성해 두고 본인이 쓰는 계정에 암호를 걸어두면 될 겁니다. 다만 기회가 있다면지도 해 봐야겠지만 현재 사용하는 것이 해도 안 열리고 낳을까 봐 걱정되는 부분도 있겠지만 바이오스랑 윈도우 암호 설정 해 놓으면은 관련해서 어느 정도 보안에 도움이 되는 것도 있겠지요. 파워스위치나 멀티탭 꺼 놓으면 알아서 사용 안 할 수도 있지.. 설마 메인보드에 모니터 연결 했는지 모르겠지만 얼마 전에 모니터 보다가 화면이 안 켜져서 파워에 문제가 있나 싶어 더라고요. 400와트 였는데 제대로 확인도 못 하고 동네 근처 수리하는데 500짜리 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교체하고 나서 전원키 넣는데 성공은 했는데 그 뒤로 가끔 컴퓨터 전원 넣을 때마다 처음갔을때 스피커 소리가 안 나오고 재부팅하면 제대로 나온 있는듯한데 문제가 그것만 아니고 게임 할 때 쓰레기 심해서 아무것도 플레이를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보더라고요. 설마 메인보드에 모니터 연결 했는지 모르겠지만 기존 4배가 되었으나 시스템에 뻥파워가 아니라 500와트 파워 뛰는 건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가 생긴다 하는 건 다른 문제일 수도 있는데 게임 할 때 얘기 생긴다는 점에서 CPU 코어 온도보다 높게 나와 있는게 아니지 않나 체크.. 종류가 많은 것도 아니라 일단 xmp가 아닌 표준에~ 지금 보니까 b350 메인보드에 라이젠 3세대 3600인데 rtx 2060 Super 업그레이드한 상태라고 보면은 메모리는 어느 정도 생각해 보게 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일단은 ddr4 pc4 19200 짜리로 두 개 정도 생각해 보게 되는데 이게 어떻게 될지는 더 시간을 두고 봐야 하는 것 같습니다. 클럭이 2400mhz 드론 않는 것 같은데 그래서 병목 현상에 생기는 것 같기도 하고 다양하게 알아보고 있긴 한데 종류가 많은 것도 아니라 일단 xmp가 아닌 표준에 따라 3200mhz 메모리만 보여지지만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인식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바이오스 문제를 겨울에 해결했는데 또 다른 고민이 생기는 것 같네요. 메모리가 병목이 생기는지 모르겠지만 보통 cpu와 vas 비.. 큰 차이 안 나면 굳이 144hz 다음에 가도 될 거라는~ 얼마 전에 알파스캔 사용하고 있는데 듀얼 한번 써 보고 싶은 생각에 주사율 같은 거 목적으로 게임은 FPS는 안 하는데 RPG 만 하게 되더라고요. 27인치 커브드 QHD 144hz 대로 되는 것을 일단 선택하고 모니터를 골라 보고 있는데 게임 할 때는 평면 키보드 차이가 심한지 모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점검을 해봐야 되는 부분도 있어 보이더군요. 보통 그런 사양에서 커버도 많이 사용하는데 평면도 일단은 각각 만에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FPS 안 하는데 144hz 좀 과한 것 같고 RPG 할 거면 60hz 저도 충분할 거라고 보여집니다. 144hz 듀얼모니터면 그래픽카드가 좋아야 하는데 60hz 모니터도 충분하다고 보여주고 솔직히 삼성 LG 아무 때나 가도 되고 중소도 괜찮은데 대기.. 그래픽카드 소모되는 전력이 크더라도! 본체내부 보니까 파워가 pcie 이렇게 해서 전원선에 한 가닥 두줄 연결하는 것도 있던데 그 연결해도 되는 건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답은 알아보고 있지 많은 연결을 직접 해 봐야 하는 부분이고 싱글 내리면 멀티의 양에 따라 다른데 그래픽 카드와 소모전력이고 용량이 12V 등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겁니다. 싱글레일이면 정격파워 입고 종류도 주문하거나 그러면 되는 거고 멀티의 일이라도 그래픽카드 소모되는 전력이 크지 않다면 크더라도 감당 가능하다면 크게 상관 없을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싱글레일이라도 케이블이나 포트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선을 여러 개로 독립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권하는 분위기더라구요. 몇 시간 정도 조립해 보고 있는데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도 .. 기기 문제거나 USB 문제인지도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 가끔 자세하게 알아 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운영체제 USB에 담아서 최신 버전으로 다시 설치해서 사용했는데 오류가 나는 분도 있더라구요. 다양한 방법으로 해 보고 이전 버전으로 다시 설치해 보고 USB도 바꿔서 이래저래 보고 있는데 혹시 기기 문제거나 USB 문제인지도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이고 boot 모드에서 legacy로 바꾼 다음에 12 번 누르면 부트매니저 인식이 되는지 확인 먼저 할 겁니다. 만약에 된다면 단순하게 uefi 부팅 되지 않게 USB가 만들어진거라 다른 USB 혹은 이미지 재설치 한다면 어느정도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시도해볼만한 방법이고 덕분에 해결된다면 이유도 알아볼 수 있겠지요. boot priority 누르면 원래 HDD SSD USB.. 이전 1 2 3 4 5 6 7 8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