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356)
안전모드 몇 번째 윈도우 들어가서 두 번째로 컴퓨터 몇대 사용하고 있는데 한대가 이상하게 안 느껴지는게 메모리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파워서플라이까지 다 점검해 보았는데 재부팅이 있어 치료하고지 맘대로 되고 몇 시간째 그렇기도 하네요. 그래서 안전모드 몇 번째 윈도우 들어가서 시동복구 윈도우 가기 했지만 선물 구리스 발라도 비슷한 증상이 나오고 몇 번을 해야 윈도우 가기 누르면 컴퓨터 알아서 정상으로 된다고 하던데 게임을 하거나 다시 컴퓨터가 재부팅되고 부팅되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 부품 없는 관계로 하나씩 빼서 확인해 봤는데 별 다른게 없더라고요. 커널 패닉이면 우선적으로 윈도우 재설치 해봐야 할 것 같은데 동일증상이 있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 보는 것 같습니다. 친구가 비슷한 증상이 있었는데 메인보드 캐패시터..
충분한 VGA 가능하다면 바로 장착해서~ 그래픽카드 관련해서 사용하는 서영이 i5 3550 인대 케이스가 설립해서 파워가 작은 거 밖에 안 들어가서 파워 용량이 300와트 되어 있는데 이게 그래픽카드가 있을까 모르겠더라고요. 아무래도 설립 그리기 카드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니까 730 같은 경우 포트 관련 말고 내장그래픽이란 별반 차이가 없어서 의미가 없고 1030 또 가성비가 어떨지는 확신이 없으니까 다르게 보기도 하네요. 무전원 그래픽 카드 찾는데 GTX 말고 GT를 알아 봐야 할 거고 75와트 이하 그래픽카드 찾으면 되는데 6핀 8핀 오전 없는 걸로 말이지요. 성능 좋은 카드는 LP 형으로 안 나오지만 찾으면 있긴 하고 lp20 케이스 파워 교체 하고 일반 그래픽카드 다른 것도 괜찮을 겁니다. 일반케이스면은 6핀 보조전원 키워도 되는 그래픽..
아니면 윈도우 7 놔두고 SSD 여유공간에~ 노트북 시디키 같은게 있길래 삼성에 물어보니까 윈도우 7시디키 맞다고 하더라고요. 거의 9년 동안 사용하지 않는데 윈도우시디키가 있는 건 좀 몰랐고 처음 알게 되었는데 문제는 노트북이 예전 모델이라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 해도 지원이 안 된다는 거더라고요. 노트북이 맞는데 윈도 10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같은게 삼성의 없다고 하는데 이게 방법이 없을까 모르겠더라고요.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 드라이버 잡아도 노트북 자체에서 지원하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나서 오류가 날 거라고 말을 하더라고요. 드라이브 지역 문제는 분명히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그래서 그나마 해볼만한 방법이 새로운 SSD 따라서 거기다 윈도우 10 설치 하는 건데 다른 방법으로 윈도우 7 백업하고 거기에다가 10 설치 먼저 있으면..
스피커를 이용하다보면 아무래도 소리에 관련해서~ 아무래도 스피드 관련해서 이래저래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팬더에서 나오는 몬트리 A라는 스피커를 보고 있는데 직구로 구매하면 어댑터가 110V 기준으로 오는 것 같더라고요. 스피커 자체는 프리볼트라고 써 있는데 궁금한 것이 있는데 뒤쪽 전원단자가 컴퓨터 본체에 사용하는 저는 모양과 비슷하게 생긴 것 같더라고요. 혹시 본체전원을 이용해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을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관련해서 한국에서는 쓰는 PC 파워 케이블 쓰면 되고 240v 프리볼트 내요 정품도 일반적인 파워케이블 인제 그나저나 몬트레이 소리가 궁금해지네요. 삼각 저는 그냥 쓰면 되고 안 맞으면 같이 온 전선 조명가게 나 철물점 가서 가져가서 플러그 그때 자르고 교체하면 될 겁니다. 팬더도 마찰 마샬처럼 스피커 종류가 많습니다 어느 메이커..
복사해서 재장착 중이고 마이크론 SSD 전원 부분과~ 이리저리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마다 어떻게 대처할지 미리 많은 경험이 있다면 도움이 되겠지요. 다른 이야기로 마이크론 mx500 1TB SSD 사용하고 있는데 윈도 깔아 줘 사용중이고 삼성 860 Pro SSD로 교체 해서 클론 복사해서 재장착 중이고 마이크론 SSD 전원 부분과 사타 커넥터연결 된다 부분이 라고해야하나 살짝 없겠는데 제자리로 왔는데 걱정이 되더라고요. 다시 연결해서 인식해 보니 다행히 인식이나 속도 부분에 이상 없는데 어떻게 부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SSD 전원커넥터 AS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비슷한 케이스가 있을 건데 mx250 기가 사용하는데 커넥터가 헐거워서 삼성 860 evo 500GB SSD로 교체 해서 MX는 외장케이스 넣어서 사용 중입니다. 외..
전원 버튼 눌러도 안 켜질 때 메인보드 led는! 얼마 전에 PC 보내 온 거 받아서 부팅 해 보고 사용해 보니까 처음에 10분 정도는 전원 꺼 주고 다시 전원 버튼 눌러도 안 켜질 때 메인보드 led는 불이 들어와 있더라고요. 뒷면에 파워스위치 꺼서 메인보드 LED 꺼진 거 확인하고 난 다음에 다시 오늘 보니까 작동이 되고 부팅이 되더라구요. 하지만 몇 10분을 또다시 전원이 꺼지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는 것 같은데 사용하는 컴퓨터가 라이젠 5 3500x에 ASUS b450m Pro gaming stcom 그리고 메모리 16기가 정도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CPU GPU 컬러 잘 되는지 확인해 보고 aida64 온도체크 아이들시 50 이하가 정상이라고 보고 메모리 그래픽카드분리 하고 청소 한번 해 주고 결합 부위도 청소해 주고 그래서 재결정에 보..
하나는 165hz 다른 하나는 75hz 모니터인데 모니터 듀얼로 사용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 색상의 차이가 느껴지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둘 다 QHD고 하나는 165hz 다른 하나는 75hz 모니터네요. 다른 강력해보이는 보이는 것도 있는데 이렇게 보면은 패널을 차이인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블루라이트 필터가 적용된게 아닐까 싶은데 블루라이트 영어로 되어 있고 일에 받았더니 한쪽모니터 글 좀 노력해 보이는 경향이 있다군요. tN 패널이 이래저래 알아보니까 화질이 어떤지 모르겠지만 좀 안 좋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고 대신에 부피에서 같은 게임에서 빠른 화면전환이 좋다고하더라구요. 반면에 IPS 화면이 제일 밝은 대신에 명암비가 좀 그래서 어두운색 표현해 부적합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는데 좀 더 알아봐야 하는 부분을 겁니다. 게임 용으로 사용 하는 거라서 ..
하드디스크의 미세한 진동에 있어야 하고! 친구가 사용하는 데스크가 기존에 사용하던 몇백개가짜리 하드디스크 제거하고 새로운 거 ide 방식으로 500기가 이상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니까 드라이버 자체가 안 잡히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윈도우 운영체제 집에서 디스크 관리 들어가 보니까 드라이브 한 개만 인식되어 있고 아이들이 방식이다 보니까 데스크탑 내부의 연결 하려니까 메인보드의 sata 방식이라 연결할 수 없다고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bios에서 잡아야 되는 거 아닌가 싶은데 바이오스에서 먼저 확인해 보고 잡히는 제한 잡히는지 그다음에 디스크관리 봐야 하는데 기존의 회장으로 사용하던 하드디스크 아이디 방식인지 sata 방식인지 확인해 보고 새 하드디스크를 데스크탑연결 하려면은 idea to sata 젠더를 구해야 될 것 같더라고요. 기존에 외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