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18)
인생선배로서 아니면 후배로서 인생을 살아가다 보면은 다양한 원리들을 있기 되기 마련입니다. 누구나 다 그런 것도 비슷한 것도 있겠지만 게임하다 느껴지는 차이 다녔지요. 인생선배로서 아니면 후배로서 들어 볼 만한 이야기들도 많이 있을 거고 나이가 몇 20대인데 뭘 하든 상관 없고 돈도 중요하지만 그 시기는 되돌릴 수 없는 시기이기 때문에 말하던 정답이라는게 없을 거고 오히려 인생 자체가 정답이 없지요. 본인이 하고 싶은 걸 하는게 그나마 좋고 만약 실증이 난다면 다음부터 회사생활도 늦지 않기 때문에 20대는 본인이 하고 싶은 거 하면 되고 그 사이에 분명 벌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오기도 할 겁니다. 경험을 쌓고 판단을 키우고 친구가 추억도 많이 먹는시기 얘기 때문에 그게 남는 거라고 생각하고 지금 이런저런 고민은 30대 초중반 해도 늦..
메모리 뽑았다가 청소하고 다시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 보면은 AMD 라이젠 5 마티스이고 MSI b450 메인보드인데 그리고 rx570 gaming 그래픽카드 쪽이고 메모리는 16기가 pc4 21300 정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금요일까지 잘 사용하고 있다가 몇 주일 정도 지나서 컴퓨터 전원 넣어 보니까 윈도우가 제대로 작동 되지 않는다고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메시지에 나오는 내용이 로드가 되지 않는 것 같다고 나오던데 다시 껐다가 키면 다시 이런 메시지가 나오고 그래서 윈도우 다시 설치했는데 바탕화면 가지는 그러다가 또 다시 로드 되지 않는다는 메세지가 나오더군요. 윈도우 10 설치 했고 이게 무슨 일인가 싶었는데 날도 더운데 이래저래 신경 쓰이는게 한두 가지가 아닌 것 같습니다. 메모리 뽑았다가 청소하고 다시 연결해 보는 방법도 있을 ..
온도는 그냥 아이들링시 40도 정도 나오는데 몇 년 전인가! 그때 컴퓨터 조립 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가 CPU 서멀구리스 재도포 하는 시기가 언제쯤일까 한번 점검해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온도는 그냥 아이들링시 40도 정도 나오는데 게임 할 때는 딱히 뜨겁다 온도가 많이 나온다 달려 리지마 다른게 느껴지는건 없더라구요. 온도가 문제 될 거 같으면 잘 들 보여 주는 건데 기간 상으로 따져서 선물 구리스 도포 해주는 기간이 있나 알아 봐야 하는 경우도 있지요. 보통 1년이나 2년에 한 번 정도 해 주는 것 같은데 아니면 2년에 3번 3년 정도 해 주는 건가 개인에 따라서 4 컴퓨터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온도 같은 거 체크해보고 온도가 저번보다 많이 높게 올라간다 싶으면 그때 재도포 하면 되는 거..
전부 다 disable 해 놨더니 원하는 os로~ cmos 부팅순서에 관해서 이래저래 체크해 봐야 하는 부분 있더라고요. 설정을 했는데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도 있고 일단 SSD에서 윈도우 10 설치 되어 있는데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윈도우 7 설치 되어 있고 HDD 사용하려는데 다음에 무조건 윈도우 7로 부팅을 하게 되어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cmos 가서 부팅순서 설정을 했는데도 그랬는데 원인이 무엇인지 한번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F10 눌러서 지정 해야하는 부분인데 컴퓨터 전원 끄고 SSD 하나만 달려 있게 연결하고 나머지 HDD는 잠시 전원 케이블만 살짝 빼놓고 SSD는 정상부팅 되는지 확인하고 이상이 없다면 다시 컴퓨터 전원 끄고 모든 거 다 연결하고 cmos 부팅 우선순위 SSD로 지정하고 반드시 지정하고 저장한다 다음에 ..
예전에 컴퓨터 관련해서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예전에 컴퓨터 관련해서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그 전에 tuf 시리즈영상 걸렸나 아무튼 ASUS 노트북 껐다가 이야기가 있었는데 직접 이렇게 찍었다고 해서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해서 관련된 영상을 본 적이 있었지요. 물론 동일 제품이 아니지만 디자인자체가 비슷하다고 해서 이래저래 조절이 안 아프게 된 것 같은데 내용이 길어지는 분도 있더라구요. 키보드는 생각보다 편하네 없고 CPU 온도 다시 측정해 보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관련된 영상을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어 보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CPU 온도 보니까 높게는 50도 나오고 평소에는 40도 정도인데 이게 노트북 전체적으로 나오는 열이 높아서 그런가 그래도 무조건 여름 방출하다 보니까 사용자 편의를 위해 이렇게 만든 거라고 하던데 오른쪽에 ..
다행히 임시파일이 남아 있어서 컴퓨터로 어떻게 작업 하다 보면은 파일 같은 경우 usb로 저장하게 되는데 아무래도 작업하다가 자료를 날려버릴 수 있지 않을까라는 걱정되는 부분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내가 관련해서 자동으로 해 줄 만한 소프트웨어가 있나 생각해 보게 됩니다. 조금 전까지 글을 작성하다가 날아가는게 있어서 다행히 임시파일이 남아 있어서 달릴 수 있었네요. 실시간 아니더라도 시간 설정해 놓으면 몇 분에 한번씩 USB 파일 자동으로 복사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을까 싶은데 시스템상으로 불가능한 건가 아무것도 모르는 입장에서 찾아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외장하드디스크도 실시간으로 백업해주는 기능 있는 것 같은데 매크로로 한 번씩 컨트롤해서 눌러 주게 되는 것도 있더라고요. 근데 저장이 안 되는게 아니라 파일이 하여 삭제되서 없..
파일을 가지고 제작되고 있는데 제공하는 경우는! 요즘 스마트 기기 관련해서 이래저래 질문 해 보고 싶은 상황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알아봐야하는 것도 그만큼 많다는 이야기겠지요. 커스텀 롬 이런 것도 있던데 관련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서 안드로이드 한번 더 더 보고 싶은 생각도 들고 맞춰서 어떤게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는지 찾아 봐야 하는 부분도 있을 겁니다. 싱글보드 오렌지 파일을 가지고 제작되고 있는데 제공하는 안드로이드가 자꾸만 오류가 나는 부분도 있고 리눅스 시스템 오류가 없지만 그래픽하드웨어 가족이 안되고 짜증만 나더라구요. 라즈베리파이 쪽은 안정적이고 개발 많아서 선택의 폭도 넓고 그런 것 같긴 한데 그냥 치면 정도로 한번 능력이 보는 것 같습니다. 재미로 펌웨어 만들고 싶은 건데 굳이 라즈베리 가야 할 이유가 있을까에 대해서..
사용하는 용도가 4K 모니터 2대 연결해서 원래 메모리는 어느 정도 늘려서 사용하려고 했는데 막상 업그레이드 해 보니까 욕심이 많은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그래픽카드 좀 더 올려 볼까 생각 하다가 1650 Super 생각해 보게 됐는데 기존도로 바꾸면을 뭐가 있을까 좀 더 생각해 봐야 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사용하는 용도가 4K 모니터 2대 연결해서 게임 같은 거 해 볼까 싶은데 지금도 못 하게 돌아가긴 하는데 사실 게임 많이 안 하기 때문에 문서나 영상편집 맥프로 하기 때문에 그냥 개인용도로만 보여주고 그래픽카드 교체 메모리 추가 해서 어느정도 컴퓨터 업그레이드 하면 성능 안 나올까 많이 이야기 하는 부분도 있더라고요. 그래서 컴퓨터 업그레이드 현재 사양에 부족함을 느끼고 업그레이드에 필요성을 느낄 때 비로소 효용 가..